[ python 친해지기 #16 ] 파이썬 모듈
안녕하세요. 심심한 코딩쟁이입니다.
오늘은 파이썬의 모듈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모듈에 대한 이해는 파이썬을 활용하는데 큰 도움이 되므로
천천히 그리고 자세히 설명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시작합니다.
모듈이란?
파이썬에서 말하는 모듈은 변수 또는 함수 또는 클래스가 저장되어 있는 파이썬 파일을 의미합니다.
다른 파이썬 파일에서 모듈에 존재하는 내용을 불러와서 사용할 수 있습니다.
우리가 파이썬을 사용하면서 import 라는 것을 본 적이 있으실 겁니다.
import 문을 통해 다른 모듈에 존재하는 변수, 함수, 클래스의 사용이 가능해집니다.
자신이 직접 만들거나 남이 만들어둔 모듈을 잘 사용하는 것도 코딩 실력의 일부분이기 때문에
필요한 기능을 가진 모듈이 있다면 사용해 보시길 권장드립니다.
모듈 생성과 사용
모듈에 대한 설명을 길게 늘어놓는 것보다 실제로 한번 사용해 보면서 이해해 보는 시간을 가지겠습니다.
앵무새가 말을 따라하는 것을 모듈로 만들어서 사용해 봅시다.
# parrot.py 의 내용입니다.
# 앵무새가 나라별로 말을 다르게 따라하도록 함수 정의
def kr_parrot(str):
return str+"요."
def jp_parrot(str):
return str+"데스."
def cn_parrot(str):
return str+"해."
모듈을 생성하였으니 import 시켜서 사용해 봅시다.
# trainer.py 의 내용입니다.
# parrot 모듈을 불러와서 사용하는 것을 보여줌
import parrot
str = "나는 심심한 코딩쟁이다"
print(parrot.kr_parrot(str))
print(parrot.jp_parrot(str))
print(parrot.cn_parrot(str))
###########
# 출력 결과
###########
나는 심심한 코딩쟁이다요.
나는 심심한 코딩쟁이다데스.
나는 심심한 코딩쟁이다해.
모듈 불러오는 방법
위 예제에서 trainer.py의 내용을 보면 import parrot 을 통해 모듈을 사용합니다.
parrot.py의 함수를 사용하려면 parrot.함수명 처럼 함수명 앞에 모듈의 이름을 써줘야 합니다.
모듈을 사용하는 다양한 방법에 대해 알아봅시다.
모듈에 존재하는 함수명만으로 사용하고 싶다면 다음과 같이 import 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 trainer.py 의 내용입니다.
# parrot 모듈을 불러와서 사용하는 것을 보여줌
from parrot import kr_parrot, jp_parrot, cn_parrot
# 또는
# from parrot import *
str = "나는 심심한 코딩쟁이다"
print(kr_parrot(str))
print(jp_parrot(str))
print(cn_parrot(str))
*는 와일드카드의 기능을 하므로 모듈에 존재하는 모든 것을 import 해줍니다.
모듈의 이름이 길어서 계속 타이핑하기 어려울 때는 별칭을 붙여서 사용하기도 합니다.
# trainer.py
# 모듈에 별칭(alias) 붙이기
import parrot as pr
str = "나는 심심한 코딩쟁이다"
print(pr.kr_parrot(str))
print(pr.jp_parrot(str))
print(pr.cn_parrot(str))
import 모듈명 뒤에 as를 사용해 별칭을 설정하는 방법입니다.
별칭(alias).함수명 으로 모듈의 함수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다른 경로에 있는 모듈 불러오기
내가 사용해야 할 모듈의 경로가 현재 작업하고 있는 파일의 경로와 다를 경우
모듈명만으로 import 를 하여도 모듈을 불러올 수 없습니다.
이를 해결할 방법으로 모듈의 절대 경로를 모두 입력하거나
파이썬 환경변수에 사용할 모듈의 경로를 추가해 주는 방법이 있습니다.
예제를 통해 이해해 봅시다.
import할 모듈의 절대 경로 추가
현재 파일의 경로가 아래와 같다는 상황으로 설명을 진행하겠습니다.
모듈의 경로
D:\parrot.py
실행 파일의 경로
C:\trainer.py
# trainer.py
# 사용할 모듈이 다른 경로에 있을 때
import sys
sys.path.append("d:\\") # parrot.py의 절대 경로를 추가해준다.
import parrot
str = "나는 심심한 코딩쟁이다"
print(parrot.kr_parrot(str))
print(parrot.jp_parrot(str))
print(parrot.cn_parrot(str))
import할 모듈이 하위 경로에 있을 경우
현재 파일의 경로가 아래와 같다는 상황으로 설명을 진행하겠습니다.
모듈의 경로
D:\symxsym\parrot.py
실행 파일의 경로
D:\trainer.py
# trainer.py
# 불러올 모듈이 하위 경로에 위치할 때
from symxsym import parrot as pr
str = "나는 심심한 코딩쟁이다"
print(pr.kr_parrot(str))
print(pr.jp_parrot(str))
print(pr.cn_parrot(str))
import할 모듈이 상위 경로에 있을 경우
현재 파일의 경로가 아래와 같다는 상황으로 설명을 진행하겠습니다.
모듈의 경로
D:\parrot.py
실행 파일의 경로
D:\symxsym\trainer.py
# trainer.py
# 불러올 모듈이 상위 경로에 위치할 때
import os
import sys
# 현재 실행하는 파일이 위치한 디렉터리의 한 단계 위 디렉터리의 절대경로를 환경변수에 추가함
sys.path.append(os.path.dirname(os.path.abspath(os.path.dirname(__file__))))
import parrot as pr
str = "나는 심심한 코딩쟁이다"
print(pr.kr_parrot(str))
print(pr.jp_parrot(str))
print(pr.cn_parrot(str))
환경변수 직접 추가
cmd 창을 실행한 뒤 불러오고 싶은 모듈의 경로를 파악합니다.
setx path %path%;모듈의 경로
위 명령어를 실행시키면 환경변수에 모듈이 위치한 디렉터리가 추가되며 import 만으로 불러올 수 있게 됩니다.
모듈에서 if __name__ == "__main__": 의 역할
모듈을 사용하다 보면 내용 중에 if __name__ == "__main__":를 볼 수 있습니다.
이게 무엇을 의미하는지 알아보시죠.
# parrot.py 의 내용입니다.
# 앵무새가 나라별로 말을 다르게 따라하도록 함수 정의
def kr_parrot(str):
return str+"요."
def jp_parrot(str):
return str+"데스."
def cn_parrot(str):
return str+"해."
if __name__ == "__main__": # __name__의 값이 __main__이면 이 파일을 직접 실행한 것
print("앵무새 직접 실행")
if __name__ == "parrot": # __name__의 값이 파일명이면 모듈로 불려진 것
print("모듈로 앵무새 불려짐")
parrot.py의 내용을 위와 같이 변경한 뒤에 trainer.py을 통해 parrot.py를 모듈로 불러오거나
직접 parrot.py를 실행해 보시면 parrot.py 파일에서 출력되는 결과가 다른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직접 실행하면 "앵무새 직접 실행"을 볼 수 있고, 모듈로 불러오면 "모듈로 앵무새 불려짐"을 볼 수 있습니다.
이처럼 __name__의 값을 통해 모듈로 불려질 때와 직접 실행할 때 수행할 동작을 다르게 설정할 수 있습니다.
__name__의 값이 __main__이면 직접 실행, 파일명과 같으면 모듈로 불려진 상태를 의미합니다.
필요에 맞게 잘 사용하시면 유용한 방법이 될 것입니다.
여기까지 파이썬 모듈에 대한 내용이었습니다.
모듈을 잘 활용하면 남이 만들어둔 유용한 기능들을 쉽게 불러올 수 있고
불필요한 과정을 줄일 수 있어서 코드 작성에 도움이 됩니다.
직접 모듈을 만들어서 사용하거나 만들어진 모듈을 가져와서 활용하는 것 또한
코딩 실력의 한 부분이라 생각합니다.
모듈 사용을 통해 원하는 기능을 쉽게 만드시길 바라며 글을 마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programming > python' 카테고리의 다른 글
[python 활용하기 #6] 파이썬 여러 폴더 만들기 (엑셀에서 목록 받음) (0) | 2023.03.07 |
---|---|
[ python 친해지기 #17 ] 파이썬 예외 처리 (0) | 2023.02.12 |
[ python 친해지기 #15 ] 파이썬 클래스 2탄 (0) | 2023.02.03 |
[ python 친해지기 #14 ] 파이썬 클래스 1탄 (0) | 2023.02.02 |
[ python 친해지기 #13 ] 파이썬 코드 실행 시 인수 전달 방법 (0) | 2023.02.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