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programming/algorithm

[algorithm] 백준 11050 - 이항 계수 1

[algorithm] 백준 11050 - 이항 계수 1

 

안녕하세요. 심심한 코딩쟁이입니다.

 

오늘은 백준 11050번 문제 - 이항 계수 1 의 풀이를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풀이에 사용한 언어는 Python3 입니다.

 

문제 해석과 풀이 다 함께 살펴보시죠.

 

algorithm
알고리즘


백준 BAEKJOON 11050

 

백준 11050번 이항 계수 1 문제 보러가기

 

반응형

 

문제

문제 해석

 

N, K 로 이루어진 이항 계수의 뜻은 N개 중 K개를 골라서 만들 수 있는 부분집합의 수를 의미합니다.

콤비네이션이라고 하죠? nCk 또는 C(N,K)로 나타내기도 합니다.

C(N,K) = N! / K! (N-K)! 로 계산됩니다.

 

풀이

 

# 11050 이항 계수 1

from math import factorial

N, K = map(int, input().split())

print(factorial(N)//(factorial(K) * factorial(N-K)))

 

풀이 해석 및 팁

 

math 라이브러리에 정의되어있는 factorial을 가져와서 사용합니다.

이항 계수를 계산할 때 팩토리얼만 신경써주면 큰 문제가 없는데 이마저도 이미 정의되어있는 함수를

가져와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큰 어려움 없이 문제해결이 가능합니다.

여기까지 백준 11050번 이항 계수 1 문제 풀이였습니다.


이번 문제의 정답률은 64% 정도입니다.

이항 계수의 공식만 알고있다면 큰 어려움 없이 해결이 가능한 문제로 보입니다.

궁금한 점이 있으시다면 댓글로 남겨주세요.

감사합니다.

 

반응형